잘 익은 김치“비만·혈압 잡는다”
- 농진청·아주대병원, 김치 임상학적 우수성 연구결과 발표 -
□ 김치가 비만억제와 혈압강하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생김치보다 잘 익은 김치가 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농촌진흥청은 아주대학교병원과 공동으로 비만환자를 대상으로 김치 섭취 및 김치 숙성도에 따른 체중, 체지방량, 혈압, 혈당, 인슐린, 총콜레스테롤 등의 변화를 조사한 임상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 연구결과에 따르면 체질량지수(BMI·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가 평균 27.7㎏/㎡인 비만환자 22명을 대상으로 생김치군(산도 0.3/pH 6.0, 담근지 1일된 김치)과 숙성김치(산도 0.8/pH 4.3, 담근지 10일된 김치)군으로 나눠 3개월간 김치를 하루에 300g씩(매끼 100g) 반찬으로 섭취시킨 결과, 몸무게가 생김치 섭취군은 1.2㎏, 숙성김치 섭취군은 1.5㎏ 줄었다.
○ 또한 체질량지수는 생김치 섭취군이 0.4㎏/㎡, 숙성김치 섭취군이 0.6㎏/㎡ 감소했으며, 체지방량은 숙성김치 섭취군이 생김치 섭취군의 체지방감소율 0.3% 보다 두 배가 훨씬 넘는 0.7%나 줄었다.
○ 혈압은 생김치 섭취군의 경우 수축기 혈압(SBP) 및 이완기 혈압(DBP)이 각각 3.7㎜Hg와 1.4㎜Hg 내려갔으며, 숙성김치 섭취군의 경우에는 그 보다 큰 4.8㎜Hg와 4.2㎜Hg 떨어졌다.
○ 공복 혈당 및 인슐린 수치도 감소해 숙성김치 섭취군의 경우 각각 5.9mg/dL와 3.9uIU/mL 내려가 생김치 섭취군의 4.18mg/dL와 1.56uIU/mL 보다 큰 폭으로 떨어졌다.
○ 혈중 총 콜레스테롤 수치도 숙성김치 섭취군이 생김치 섭취군의 4mg/dL 보다 두 배가 넘는 10mg/dL 감소했다.
○ 이번 임상실험결과 김치 섭취가 과체중 및 비만환자에게서 체중, 체지방, 혈압, 콜레스테롤 등을 줄이는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생김치 보다 숙성김치 섭취시 체지방,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등의 감소가 더욱 컸다.
○ 이러한 결과는 김치 숙성도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잘 익은 김치가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이번 김치의 임상학적 우수성에 대한 연구논문은 영양학 분야 세계적 학술저널인 ‘뉴트리션 리서치(Nutrition Research)’ 6월호에 실렸다.
□ 농촌진흥청 발효이용과 한귀정 과장은 “지금까지 김치의 영양 생리적 기능성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동물실험 수준에서의 연구가 전부였고, 거의 다 김치 재료에 대한 연구였다”며 “이번 연구는 김치의 발효 효과에 중점을 두고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 결과로써 그 의미가 크며, 김치가 세계적으로 우수한 건강발효식품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입증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Q&A
Q1 |
김치의 항비만 효과에 대한 타 연구결과가 있는가? 그러한 연구가 있었다면 본 연구와 어떤 차별점이 있는가? |
○ 김치가 갖는 항비만 효과는 세부적으로 어떤 비만유형 또는 증상에 유효하다고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1991년 일본 규슈대학 건강과학센터에서 한국 여대생들과 일본 여대생들의 신체조성에 대한 비교연구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 분석결과는 한국 여대생들의 총 체지방질량 및 체내 심부 지방질량이 일본 여대생들보다 훨씬 낮았으며, 그 원인을 김치에서 유래하는 capsaicin으로 보고 한국 여대생들은 김치 섭취를 통한 capsaicin 섭취량이 높은데서 그러한 결과가 도출되었을 것으로 보고하였습니다.
○ 얼마 전 김치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아토피 치료효과가 우수하다는 연구결과가 있었고, 2009년에는 김치와 천일염의 항비만 효과에 대한 보고가 있었습니다. 그 외에도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대부분 김치를 식품으로 섭취해 얻게 되는 효과 보다는 김치 분리 유산균이나 발효에 의한 대사산물의 효과로 실제 우리가 일상에서 섭취하는 식품으로써의 효과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 또한 운동과 김치 섭취를 병행한 그룹과 김치를 섭취한 그룹, 운동만 한 그룹과 두 가지를 모두 통제한 그룹보다 체중 BMI, 비만도, 체지방량이 등이 감소함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동물실험에서 이미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확인되었습니다.
○ 본 연구의 차별점은 시험대상자가 이미 질병군으로 분류된 사람들 이였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치의 꾸준한 섭취가 질병 관련 인자에 긍정적 효과를 보였고, 이러한 효과는 발효기간 증대에 따라 더 크게 나타났다는데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Q2 |
김치의 임상학적 연구에 사용된 김치는? |
○ 연구에 사용된 김치는 표준 요리법으로 만들어진 배추김치를 이용하였으며, 김치의 숙성도는 김치 담근 후의 경과시간과 이화학적 특성을 기준으로 결정하였고, 생김치군(담근 후 1일, 산도 0.3/pH 6.0)과 숙성김치군(담근 후 10일, 산도 0.8/pH 4.3)으로 명명하여 사용하였습니다.
○김치 제조에 사용된 모든 재료는 국내산 농산물을 이용하였으며, 시험기간 중 생김치는 일정시간 경과하면 발효되므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생김치와 숙성김치를 새로 제조한 시료를 받아 실험에 이용하였습니다.
○ 시험을 위한 김치제조의 조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품명 |
함량(g) |
원산지 |
비고 |
절임배추 |
61.6 |
전남 해남 |
배추절임시 천일염 사용 |
고춧가루 |
1.0 |
경북 의성, 영양 |
분쇄 후 즙으로 사용 |
홍고추 |
0.1 |
경북 문산 |
|
무채 |
20.0 |
제주도 |
|
마늘 |
2.9 |
전남 신안군 |
|
생강 |
0.1 |
충남 서산 |
|
양파 |
0.3 |
전남 무안 |
|
정백당 |
1.1 |
|
|
다시마S엑기스 |
0.3 |
남해안 |
바지락, 다시마, 새우 |
새우젓 |
1.6 |
전남 신안군 |
|
멸치액젓 |
1.1 |
남해안 |
|
멸치젓 |
0.9 |
동해안 |
직접 달여 여과후 냉각 사용 |
찹쌀풀 |
2.3 |
충남 당진 |
곱게 분쇄하여 풀쑤어 사용 |
배 |
1.4 |
경기도 안성 |
즙으로 사용 |
갓 |
1.4 |
전남 여수 |
|
쪽파 |
0.7 |
제주도 |
|
가루엿 |
0.1 |
|
|
재염 |
0.1 |
|
절임상태에 따라 첨가 |
Q3 |
시험대상자인 비만환자의 선정기준은? |
○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25kg/m 2인 건강한 성인을 비만군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즉 다른 질병에 따른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비만지수만 나타난 질병군을 시험대상자로 하였습니다.
○ 시험대상자로 배제된 조건은 당뇨병(공복혈당≥126mg/dL이거나 경구 당부하 검사에서 식후 혈당이 200mg/dL 이상, 혹은 당뇨병으로 진단받고 치료중인 환자), 갑상선 질환, 신기능저하(혈청 크레아티닌>1.3mg/dL), 간기능 장애(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총빌리루빈 값이 정상 상한치의 2배 이상)가 있거나 울혈성 심부전(New York Heart Association class III or IV), 급성 질환을 가진 경우, 임산부나 수유부, 최근 3개월 이내에 운동을 새롭게 시작한 경우, 최근 3개월 동안 체중변화가 3kg 이상 있었던 경우, 체중에 영향을 주는 약제를 복용하는 사람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 또한 임상실험 기간 동안 다른 질환으로 치료를 받는 경우나 순응도가 저하되는 경우, 다른 약제를 복용한 경우, 임신을 한 경우에는 중도 탈락시켜 비만 이외 어떤 요인도 김치섭취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시켜 정확한 결과가 도출되도록 하였습니다.
Q4 |
실험대상자들의 김치의 섭취 방법은? 기존의 식습관에 대한 오차조절은? |
○ 설문조사를 통해 과거병력, 가족력, 운동습관을 포함한 음주, 흡연 여부 등의 생활 습관을 조사하였고, 임상영양사가 식습관 조사 및 영양평가 등을 시행하였습니다.
○ 연구 참여자들은 2주간 김치 및 다른 발효 음식물을 전혀 섭취하지 않는 전처치기간을 가진 뒤 무작위로 두 군으로 나뉘었고, 한 군은 생김치를 다른 군은 숙성 김치를 1개월간 섭취하도록 하였습니다.
○ 다시 1개월간은 섭취를 중단해 wash out 기간을 거친 다음 1개월 동안 반대로 발효 김치 또는 생김치를 섭취하도록 하였으며(cross-over design), 연구기간 동안에는 본 연구진이 제공하는 식사를 하도록 하였고 표준 요리법에 의해 만들어진 김치를 하루에 300g씩(매끼 100g) 반찬으로 전량 섭취하도록 하였습니다.
Q5 |
현재 알려진 김치의 기능성은? |
○ 2006년 미국의 권위 있는 건강전문 월간지 ‘Health’가 세계 5대 건강식품을 발표하였는데, 그중 김치가 선정되어 스페인의 올리브유, 그리스의 요구르트, 일본의 낫또, 인도의 렌틸콩과 함께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습니다.
○ 발효식품인 김치에는 비타민 A, B, C가 풍부하고 몸에 좋은 유산균이 풍부하며, 암세포 증식 억제가 이미 그 효능을 입증 받았습니다.
○ 또한 다이어트 식품인 김치는 비만 예방 능력도 탁월해 채소 자체의 풍부한 섬유소 섭취로 위장을 깨끗하게 해주며 소화기능을 활성화시키고 100g 섭취에 32kcal 밖에 미치지 않는 저칼로리 식품으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시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최근 문제가 되었던 사스와 조류독감에 김치의 예방효과가 알려지면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이는 발효된 김치에서 유래되는 물질이나 유산균에 의한 것으로, 김치 특유의 냄새 때문에 멀리하던 외국에서도 우리 전통발효식품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졌습니다.
○ 이외에도 김치의 항산화성과 항노화성, 김치의 항돌연변이성 및 항암성, 김치의 항동맥경화성 및 기타 생리적 기능성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결과로 김치의 기능성이 확인되었습니다.
Q6 |
우리나라 국민들의 김치 섭취율과 섭취량은? |
○ 2009년 국민건강통계(보건복지부, 2010)에 따르면 다소비 식품조사에서 백미가 1위, 김치가 2위를 차지함으로써, 한국 사람이 섭취하는 대표적인 식품은 밥과 김치라고 할 수 있고, 그만큼 우리 식생활에서 김치의 중요도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또한 매일 먹는 김치 섭취율은 5.7%를 나타냈고, 섭취량은 남자 96g/일, 여자 76g/일을 나타냄으로 김치는 우리 식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식품임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Q7 |
우리나라 김치시장 규모 및 수출입 현황은? |
○ 국내 김치시장 규모는 약 2조6천억 원으로, 자가 생산김치와 시판용 김치비율이 6:4로 나타났습니다.
○ 과거에는 김치를 주로 집에서 담아 먹었으나 최근 독신층과 노인, 맞벌이 가정이 증가함에 따라 김치제품 수요가 증대되었고, 이에 따라 김치가 점차 산업화되어 시판 김치를 이용하는 비율이 증대된 것입니다.
○ 수입개방 확대와 외식산업 발달로 중국산 김치의 수입이 급증하여, 2002년 1,041톤에서 2008년 222,370톤으로 약 210배로 늘었으나 원산지표시제에 따라 2009년에는 148,124톤으로 감소되었습니다. 이는 중국산에 대한 불신이 깊어 소비자의 선택율이 낮아진 것으로 보여집니다.
○ 해외 김치시장의 수출은 주로 일본에 편중되어 있는데 이는 많은 일본인들에 의한 제품 선호가 높고 김치의 건강 기능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 따라서 김치 세계화를 위해서는 국가별 식문화가 잘 반영된 다양한 제품화 기술개발과 함께 김치의 알려진 다양한 기능성들이 임상시험을 통해 그 우수성이 규명되어야 할 것입니다.
Q8 |
향후 연구계획은? |
○ 본 임상연구의 핵심인 잘 익은 김치가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 현재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김치섭취에 따른 당뇨 관련 인자와 혈중 지질저하 및 항염증 인자 변화에 관련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비만에 이어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국민 성인병인 당뇨질환자의 꾸준한 김치 섭취가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기대해 봅니다.
'중년의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동적인 100세 사회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 (0) | 2011.12.07 |
---|---|
오래살려면 호박을 먹어라 (0) | 2011.12.05 |
잠은 12반 이전에 자야 세포가 생성한다~ (0) | 2011.12.01 |
오늘은 무얼 또 깜빡하셨습니까? (0) | 2011.11.26 |
젊고 아름다운 노후생활을 위하여 (0) | 2011.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