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산물 이란?
『친환경농산물』은 합성농약, 화학비료 및 항생ㆍ항균제 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을 최소화하고 농업ㆍ축산업ㆍ임업 부산물의 재활용 등을 통하여 농업생태계와 환경을 유지 보전하면서 생산된 농산물(축산물을 포함)을 말합니다.
친환경농산물의 종류
『친환경농산물』은 생산방법과 사용자재 등에 따라 유기농산물(유기축산물), 무농약농산물(무항생제축산물), 저농약농산물로 분류합니다.
※ 저농약농산물은 2010부터 신규인증은 중단되었으며, 기존에 인증을 받은 농가는 2015년까지만 유효기간 연장이 가능합니다.
친환경농산물 종류 구분
ㆍ농림산물
-『유기농산물』: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유기합성농약은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시비량의 1/3이하를 사용하여 재배한 농산물
-『저농약농산물』: 유기합성농약의 살포횟수는 1/2이하, 최종살포일은 2배수를 적용하고 화학비료는 권장시비량의 1/2이하로 사용하여 재배한 농산물
ㆍ축산물
-『유기축산물』: 항생제ㆍ합성항균제ㆍ호르몬제가 포함되지 않은 유기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한 축산물
-『무항생제축산물』: 항생제ㆍ합성항균제ㆍ호르몬제가 포함되지 않은 무항생제 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한 축산물
유기농이란?
웰빙, 슬로우시티, 슬로우푸드 등과 더불어 세간의 큰 관심을 끌고 있는 유기농산물이 무엇인가 살펴보기로 한다.
유기농산물은 우리나라 친환경농산물의 최상위단계에 위치한 것으로 친환경농산물은 환경을 보전하고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농약과 화학비료 및 사료첨가제 등 화학자재를 전혀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최소량만을 사용하여 생산한 농산물을 말한다.
이렇게 생산하게 되면 농약을 비롯한 각종 화학물질의 사용을 자제해 자연환경을 보존함과 동시에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하는 큰 역할을 하게 됨은 물론 최근 수질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농경지 배출수 등 농업으로 인한 수질오염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러한 친환경농산물은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해 전문인증기관이 엄격한 기준으로 선별·검사하여 정부가 그 안전성을 인증해 주는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를 통해 인증마크를 부여받아 출하되고 있는데, 현재 인증은 본회를 비롯한 51개의 민간인증기관과 정부기관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맡아 하고 있다.
여기에는 3종류의 인증단계를 갖고 있는데,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로 구분된다.
친환경농산물 종류별 표시식별 및 인증표시 설명
비 고 1. 천연ㆍ자연ㆍ무공해ㆍ저공해 및 내추럴(natural)등 소비자에게 혼동을 초래할 수 있는 강조표시를 하지 아니할 것 2. 토양이 아닌 시설 또는 배지에서 작물을 재배하고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외부에서 공급하거나 외부에서 공급하지 2. 아니하고 자연용수에 용존한 물질에 의존하여 재배한 농산물은 양액재배농산물 또는 수경재배농산물로 별도로 표 2. 시할 것 3. 유기로 전환중인 경우에는 표시문자의 뒤에“(전환기)”를 표시할 것 2. - 예시 : 유기농산물(전환기), 유기00(전환기) |
'강화도 농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군친환경농업인연합회 창립대회 개최 (0) | 2011.10.04 |
---|---|
왜 유기농산물이 좋은가? (0) | 2011.09.28 |
강화군 농사ㆍ농경 체험장 현황 (0) | 2011.09.25 |
정겨운 농촌 모습 (0) | 2011.09.16 |
농어업인 영유아 양육비 지원사업 (0) | 201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