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 이상증상의 발생원인과 예방
무는 품종이 대단히 많은데 생산목적에 따라 선택하는 품종이 다르며, 품종 특성에 적절한 재배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모양의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
1. 무 바람들이의 원인 : (1) 생육과정에 장시간 고온 건조했을 경우, 특히 생육후기에 건조했을 때 (2) 질소비료에 편중과 가리비료의 소비 또는 무비, 생장이 지나치게 빠를 때, 수확 지연 (3) 조기 파종과 조기 추대?개화로 인해 양분소모가 과다할 경우 (4) 저장기간의 고온, 건조한 기상 (5) 생장속도가 빠르고 육질이 무른 품종은 바람들이가 심하다.
2. 가랑이무가 생기는 원인 : (1) 묵은 종자를 심어 유근(幼根)이 손상을 입었을 경우 (2) 기비로 충분히 부숙되지 않은 유기질 비료의 시비 또는 비료를 깊이 시용하지 않았거나 토양해충의 피해를 받았을 경우 (3) 중경 배토할 때 근관(뿌리골무)이 기계 손상을 입었을 때 (4) 토양이 단단하게 굳었거나 자갈, 깨진 벽돌과 기와 등 비교적 단단한 장애물이 있을 경우
3. 무 뿌리터짐의 원인 : 뿌리의 비대기간에 관수 부족 이후 과습 조건이 발생할 경우에 뿌리터짐이 생긴다. 즉 무의 생육 초기에 건조하면 표피층 조직이 경화되는데, 그 후 강우가 충분하고 온도가 적당해지면 무 뿌리의 얇은 벽 세포가 다시 팽대할 때 표피가 강한 장력을 이기지 못하고 갈라지게 된다. 그 외에 점질이 많은 토양에 무를 재배할 때 비가 적어 건조하면 뿌리터짐 현상이 발생한다.
4. 무 흑심증(黑心症)의 원인 : (1) 충분히 부식되지 않은 유기비료를 시용하여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비교적 많은 산소가 소모됨으로써 무 뿌리에 산소가 부족해진 경우 (2) 토질이 비교적 단단하여 근부에 산소가 부족해진 경우
무의 근계(根系) 이형의 형성 원인을 명확히 파악하여 무의 외관 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종합적 예방조치를 취해야한다.
1. 우량품종 선택 및 병해충방제. 환경 적응성 우량한 품종은 단엽십삼(單葉十三), 마이(馬耳), 황주나복(黃州蘿?), 절장대(浙長大), 심리미(心里美) 등이 있다. 이러한 무 품종들은 생산량이 높을 뿐 아니라, 맛과 품질이 우수하며 기형 무의 발생이 적은 편이다. 주로 발생하는 배추흰나비(유충), 진딧물, 배추순나방(유충), 검은무늬병, 무바이러스병 등 병해충이 있다. 해충방제는 제충국과 생물농약 혼합제 혹은 단제 생물농약으로 방제, 병은 病毒A, 植病灵、粉霉灵 等으로 방제한다.
2. 재배적지 선택 및 정밀한 정지. 무 생육에 적합한 환경 조성을 위하여, 토질이 좋은 밭을 선택하여 땅을 곱게 정지하며, 시비를 고르게 하여 한 곳에 몰린 비료로 인해 생기는 비해(肥害)를 방지한다.
3. 충분한 기비와 적절한 추비. 밑거름 중심으로 시비하고 웃거름을 보충한다. 10a당 부숙된 퇴,구비 3,500~4,500kg, 인산비료 15kg, 가리비료 15kg을 시비한다. 또는 각종 유기복합비료 75kg을 시용한다. 생육일수가 긴 만 생종은 기비를 적절히 증비하고, 추비는 유묘의 생육상태에 살펴 1~2회 나누어 분시한다.
4. 토양수분이 적당할 때 파종하고 습윤(濕潤)하게 관리. 토양 수분이 적당한 때를 잘 골라서 파종 3~4일 후에 출아할 수 있게 하며, 생육 중에 뿌리는 얕고 잎이 크면 증발량이 많아지므로 반드시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야 한다. 만약 건조하면 조금씩 자주 물을 주고, 배수를 철저히 하여 습윤 상태를 유지해야 생산성이 제고되고 및 품질이 향상되어 고가의 상품을 생산할 수 있다.
www.cast.net.cn